티스토리 뷰
2025년 올해 청년도약계좌 가입자가 받을 수 있는 정부 기여금 지원 수준이 확대되어 만기시 수령금이 최대 60만원까지 늘어납니다. 즉, 5년 만기 시 최대 5,000만 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론, 청년도약계좌 기여금이 확대(월 최대 2만 4,000원 → 3만 3,000원)되어, 3년 이상 유지시하다 중도해지하더라도 비과세 및 기여금일부(60%)가 지원됩니다. 연 최대 7.64%의 일반적금 상품 수익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최대 5,000만 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기회입니다.
올해 납입액부터 혜택이 주어진다고 하니 놓치지 마세요!
신청은 각 은행별 앱에서 가능합니다
안드로이드 전용 바로가기 | 아이폰 전용 바로가기 |
농협은행 | 농협은행 |
신한은행 | 신한은행 |
우리은행 | 우리은행 |
하나은행 | 하나은행 |
기업은행 | 기업은행 |
국민은행 | 국민은행 |
부산은행 | 부산은행 |
광주은행 | 광주은행 |
전북은행 | 전북은행 |
경남은행 | 경남은행 |
대구은행 | 대구은행 |
이러한 청년도약계좌 상품설명, 가입대상 조건, 가입시 혜택, 가입 및 심사 절차, 가입시 유의사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청년도약계좌 관련 정보를 자유롭게 공유하고 실시간으로 소통하는 채팅방은 운영하고 있습니다.
→ 상담을 원하는 경우 콜센터 또는 채팅상담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단, 채팅상담은 자세한 상담에 제약이 있을 수 있음)
[서민금융진흥원 공식]청년도약계좌 정보공유 오픈카톡_4
#청년도약계좌 #서민금융진흥원 #정보공유방 #5천만원만들기 #8~9%적금금리효과
open.kakao.com
청년도약계좌 상품설명
상품명: 청년도약계좌
가입기간: 60개월
납입금액: 1천원 ~ 70만원 내 매월 자유롭게 납입
금리: 취급기관 자율결정(3년 고정, 2년 변동)
청년도약계좌 가입대상 조건
나이: 가입일 기준 만 19세 ~ 34세 이하* (*병역이행기간(최대 6년)은 연령 계산시 빼고 계산)
개인소득: 직전 과세기간의 총급여액이 7,500만원 이하,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금액이 6,300만원 이하인 경우(단, 육아휴직급여(육아휴직수당), 군 장병급여 외에 비과세 소득만 있는 경우는 제외됨)
※ 직전 과세기간의 소득이 확정되지 않은 기간에 소득을 확인한 경우에는 전전년도 소득으로 인정
가구소득: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으로 중위소득 250% 이하에 해당하는 자
※ 직전 과세기간의 소득이 확정되지 않은 기간에 소득을 확인한 경우에는 전전년도 소득으로 인정
- 가구원은 청년 본인과 본인의 주민등록등본상 배우자, 부모, 형제, 자매(미성년자)를 기준으로 판단함
청년도약계좌 가입시 혜택
정부기여금: 납입액에 비례해 소득구간별 정부기여금 지원(월 최대 2만 4,000원 → 3만 3,000원으로 확대)
비과세 혜택: 납입액과 정부기여금에 대한 이자소득세 0원
소득+우대금리: 저소득층 청년을 대상으로 일정수준의 우대금리 제공(취급기관 자율결정(3년 고정, 2년 변동))
청년도약계좌 가입 및 심사 절차
가입신청: 매월 - 취급은행 앱에서 신청
해당은행: 농협,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기업은행, 국민은행, 부산은행, 광주은행, 전북은행, 경남은행, 대구은행
가입심사: 신청 후 약 2주 - 서민금융진흥원
계좌개설: 취급은행 앱에서 개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