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청년도약계좌 가입대상 조건 및 신청방법
청년도약계좌 가입대상 조건 및 신청방법

 

 

 

2025년 올해 청년도약계좌 가입자가 받을 수 있는 정부 기여금 지원 수준이 확대되어 만기시 수령금이 최대 60만원까지 늘어납니다. 즉, 5년 만기 시 최대 5,000만 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론, 청년도약계좌 기여금이 확대(월 최대 2만 4,000원 → 3만 3,000원)되어, 3년 이상 유지시하다 중도해지하더라도 비과세 및 기여금일부(60%)가 지원됩니다. 연 최대 7.64%의 일반적금 상품 수익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로 목돈마련

 

최대 5,000만 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기회입니다.

올해 납입액부터 혜택이 주어진다고 하니 놓치지 마세요! 

 

신청은 각 은행별 앱에서 가능합니다

안드로이드 전용 바로가기 아이폰 전용 바로가기
농협은행 농협은행
신한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하나은행
기업은행 기업은행
국민은행 국민은행
부산은행 부산은행
광주은행 광주은행
전북은행 전북은행
경남은행 경남은행
대구은행 대구은행

 

이러한 청년도약계좌 상품설명, 가입대상 조건, 가입시 혜택, 가입 및 심사 절차, 가입시 유의사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알아보기(출처=서민금융진흥원)

 

※ 청년도약계좌 관련 정보를 자유롭게 공유하고 실시간으로 소통하는 채팅방은 운영하고 있습니다.

→ 상담을 원하는 경우 콜센터 또는 채팅상담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단, 채팅상담은 자세한 상담에 제약이 있을 수 있음)

 

1. 청년도약계좌 오픈채팅방 1번방

2. 청년도약계좌 오픈채팅방 2번방

3. 청년도약계좌 오픈채팅방 3번방

4. 청년도약계좌 오픈채팅방 4번방 

 

[서민금융진흥원 공식]청년도약계좌 정보공유 오픈카톡_4

#청년도약계좌 #서민금융진흥원 #정보공유방 #5천만원만들기 #8~9%적금금리효과

open.kakao.com

 

 

청년도약계좌 상품설명

상품명: 청년도약계좌

가입기간: 60개월

납입금액: 1천원 ~ 70만원 내 매월 자유롭게 납입

금리: 취급기관 자율결정(3년 고정, 2년 변동)

 

청년도약계좌 상품설명 주요내용
청년도약계좌 상품설명 주요내용(출처=서민금융진흥원)

 

 

 

청년도약계좌 가입대상 조건

나이: 가입일 기준 만 19세 ~ 34세 이하* (*병역이행기간(최대 6년)은 연령 계산시 빼고 계산)

개인소득: 직전 과세기간의 총급여액이 7,500만원 이하,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금액이 6,300만원 이하인 경우(단, 육아휴직급여(육아휴직수당), 군 장병급여 외에 비과세 소득만 있는 경우는 제외됨)
※ 직전 과세기간의 소득이 확정되지 않은 기간에 소득을 확인한 경우에는 전전년도 소득으로 인정

가구소득: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으로 중위소득 250% 이하에 해당하는 자
※ 직전 과세기간의 소득이 확정되지 않은 기간에 소득을 확인한 경우에는 전전년도 소득으로 인정
- 가구원은 청년 본인과 본인의 주민등록등본상 배우자, 부모, 형제, 자매(미성년자)를 기준으로 판단함

중위소득 250%
23년 기준 중위소득 250%(출처=서민금융진흥원)

 

 

청년도약계좌 가입시 혜택

정부기여금: 납입액에 비례해 소득구간별 정부기여금 지원(월 최대 2만 4,000원 → 3만 3,000원으로 확대)
비과세 혜택: 납입액과 정부기여금에 대한 이자소득세 0원
소득+우대금리: 저소득층 청년을 대상으로 일정수준의 우대금리 제공(취급기관 자율결정(3년 고정, 2년 변동))

개인소득 구간별 정부기여금 지급 구조
개인소득 구간별 정부기여금 지급 구조(25.1월 납입금액부터 적용)(출처=서민금융진흥원)

 

 

 

청년도약계좌 가입 및 심사 절차

가입신청: 매월 - 취급은행 앱에서 신청

해당은행: 농협,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기업은행, 국민은행, 부산은행, 광주은행, 전북은행, 경남은행, 대구은행

가입심사: 신청 후 약 2주 - 서민금융진흥원

계좌개설: 취급은행 앱에서 개설

청년도약계좌 가입심사 절차
청년도약계좌 가입심사 절차(출처=서민금융진흥원)

 

반응형